본문 바로가기
진단면역

NT-proBNP검사:NT-proBNP정의,임상적의의,심부전정의,NT-proBNP와BNP차이,급여기준,검사방법,검사결과,정상수치

by 진독 jindog 2023. 12. 21.
반응형

안녕하세요 진단검사의학 독학하기 진독입니다.

 

오늘은 심부전과 관련된 검사인 NT-proBNP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는 NT-proBNP 정의, NT-proBNP임상적의의, 심부전의 정의, NT-proBNP와 BNP의 차이, NT-proBNP 급여기준, NT-proBNP 검사방법, NT-proBNP 검사결과입니다.

 

 

NT-proBNP 정의 

 

 

NT-proBNP는 심장의 좌심실 세포에서 주로 생성되는 단백질입니다.

 

좌심실 벽의 스트레스로 인하여 발생하는 바이오마커는 생리적으로 활성화돼 있는 BNP(brain natriuretic peptide)와 생리적으로 불활성화되어 있는 NT-proBNP (N-terminal pro-BNP)로 구성됩니다.

 

BNP는 natriuretic peptides 호르몬계에 속하며 혈류 과부하(volume overload)에 반응하여 신체 내 Na+과 체액의 배설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BNP는 심근세포에서 유리되어 혈중에서는 비활성화 물질인 NT-proBNP와 활성화 물질인 BNP 형태로 분리됩니다.

 

일반적으로는 소량의 BNP와 NT-proBNP만이 혈류에서 발견되는데, 좌심실에 평소 보다 더 많은 부하(혈류 과부하)가 걸리면 혈액에서의 BNP나 NT-proBNP 농도가 크게 증가하게 됩니다.

 

NT-proBNP 임상적의의

 

 

BNP, NT-proBNP는 울혈성심부전의 진단, 정도 및 예후, 치료의 반응 정도 평가, 심근경색 이후 장기적 예후 평가, 심부전의 위험도가 높은 환자의 선별 등에 이용됩니다.

 

따라서 BNP와 NT-proBNP는 최근 심부전 진단에 필수 검사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미 많은 연구에서 급성호흡곤란의 감별 진단, 심부전의 진단 및 예후 판정 등에 유용한 임상적 검사로 증명되었습니다.

 

심부전의 정의 : 심부전이란?

 

 

 

심부전(Heart failure)은 심장이 충분한 혈액을 몸 전체로 펌프 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상태로, 심장 기능이 약화되거나 심장 근육이 손상을 입은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체내에 적절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에는 호흡 곤란, 다리 부기, 피로, 식욕 부진, 심계항진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심부전은 적절한 치료 없이는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NT-pro BNP와 BNP의 차이점


심실 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 NT-pro BNP 수치의 상대적, 절대적 증가가 BNP의 수치증가에 비해 현저하여 심실 기능 부전의 진단에는 NT-pro BNP가 BNP에 비해 우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BNP의 반감기는 20분 정도인 것에 비해 NT-pro BNP의 반감기는 1~2시간 정도이기 때문에 혈액 내에 농도가 높고 운동에 의한 변동도 적습니다.
 
또한 혈액 내에서 BNP의 농도에 비해 NT-pro BNP의 농도가 더욱 안정적인 것으로 밝혀져 임상적인 진단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즉, BNP는 훨씬 더 짧은 반감기를 갖고, NT-proBNP는 더 긴 반감기를 갖기 때문에 NT-proBNP는 혈류에 서 보다 높은 농도로 순환합니다.

 

NT-proBNP가 다소 더 높은 농도 수준으로 순환하기 때문에 초기 단계의 심부전 감별에 있어 민감도가 더 높습니다.

 

 

NT-proBNP급여 기준

 

-누 406 뇌성나트륨이뇨펩타이드(Brain Natriuretic Peptide, BNP), Pro-Brain Natriuretic Peptide 검사의 급여기준

 

가. 급여대상

 

1) 호흡곤란 등을 호소하는 환자의 심부전 감별 진단과 예후 판정

2) 급성 심근경색증 예후 판정

3) 급성기 가와사키병 진단

4) 폐동맥 고혈압 진단과 경과 판정

5) 심장이식 후 경과 판정

6) 수혈 관련 혈액량 과부하(Transfusion- associated circulatory overload, TACO) 감별 진단

 

나. 다만, 상기 가. 의 급여대상을 초과하여 시행하는 경우 검사 시행의 타당성에 대한 소견서 및 진료내역 등을 참조하여 인정

 

 

NT-proBNP검사 방법

 

 

 

NT-proBNP는 심장의 신진대사 과정 중 발생하는 펩타이드로, 혈액 내에서 측정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환자의 정맥채혈을 통한 혈액 검사로 검사가 시행됩니다.

 

NT-proBNP는 연령, 성별, 동반 질환(만성 신부전, 간부전, 감염병, 화상, 빈혈 등), 약물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어 단독 검사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주의해야 합니다.

 

*NT-proBNP검사만으로 심부전을 진단하지 않고, 심장초음파를 같이 검사해야 합니다.

 

NT-proBNP 검사 결과

 

NT-proBNP 정상 수치

 

남성 : < 45Y: ≤ 62.9
  45-54Y: ≤ 83.9
  55-64Y: ≤ 161.0
  65-74Y: ≤ 241.0
  ≥ 75Y: ≤ 486.0


  * 급성심부전 진단 기준: < 300.0 (pg/mL)

중등도 심부전 < 400 ~2,000 (pg/mL)

그 이상시 고도 심부전


여성 : < 45Y: ≤ 116.0
  45-54Y: ≤ 169.0
  55-64Y: ≤ 247.0
  65-74Y: ≤ 285.0
  ≥ 75Y: ≤ 738.0


  * 급성심부전 진단 기준: < 300.0 (pg/mL)

중등도 심부전 < 400 ~2,000 (pg/mL)

그 이상시 고도 심부전

 

*검사 방법과 병원, 검사 기관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

 

NT-proBNP 수치 상승 시 : 금성 심부전, 심근경색, 고혈압, 당뇨병, 협심증, 울혈성 심부전등

 

이상으로 NT-proBPNP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google-site-verification=salnmGDvo3vT5MGgB4EVbzpih-qEywUuxbX6dUh_Rh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