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단혈액학

WBC Diff 검사(백혈구감별계산) :WBC Differential Count 백혈구백분율,호산구,호염구,호중구,림프구,단핵구 정상수치

by 진독 jindog 2023. 11. 24.
반응형

안녕하세요 진단검사의학 독학하기 진독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백혈구의 종류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백혈구의 종류를 백분율로 나타내 검사할 수 있는WBC Differential Count (백혈구 감별 계산) 검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는 WBC Differential Count의 정의, WBC Differential Count 검사 방법, 검사 항목과 정상수치입니다.
 

 

WBC differential count(백혈구감별계산) 정의

 
WBC differential count(백혈구감별계산)는 혈액 내에서 다양한 유형의 백혈구(White Blood Cell, WBC)의 백분율을 측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줄여서 WBC Diff 검사라고도 불리는데요 검사하는 장비에 따라서  3-Diff와 5-Diff로 나눠집니다.
 
5가지 종류의 백혈구는 일정한 비율로  존재하는데요

WBC differential count(백혈구감별계산)는 각각의 백혈구 유형이 혈액 내에서 차지하는 비율과 수치를 파악하여 백혈구들의 분포가 정상인지 증가 혹은 감소했는지를 확인하며 질병이나 상태를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WBC differential count(백혈구감별계산)  검사 방법

출처 : What is a 5-part differential? • The Blood Project

 
WBC differential count(백혈구감별계산)는 보통 CBC검사(일반혈액검사)에 포함되어 있으며 환자의 정맥채혈을 통한 혈액 검사로 진행합니다.
 
채혈 후 응고되거나 용혈 된 검체는 수치가 많이 차이 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계산방법은 장비를 이용하는 자동화검사 방법과, 슬라이드를 만들어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수기법이 있습니다.
 
 

WBC differential count(백혈구감별계산) 검사 항목과 정상 수치

 

 
백혈구 감별계산은 백혈구의 종류인 호중구, 호산구, 호염구, 림프구, 단구에 대한 유형의 수를 백분율로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의사는 환자의 혈액 내 백혈구의 비율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질병의 가능성이나 상태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백혈구 감별계산 검사 항목
 

호중구( Neutrophil)


의의 :  세균, 진균 등 감염과 염증에 대해 몸을 보호하는 백혈구
 
Neutrophil Seg 정상 수치 :  40.0 ~ 70.0 (%)
 
Band Neutrophil  정상수치 : 0.0 ~ 5.0 (%)
 
호중구 증가 시 : 다양한 골수질환, 세균감염증, 혈액질환, 대사 질환, 쿠싱 증후군, 뇌출혈, 심근경색, 수술 후, 외상

호중구 감소 시 : 심한 감염, 항암제등 약제 복용, 화학 요법, 결핵, 패혈증등
 

호산구(Eosinophil)

 
의의 : 인체 기생충 감염이나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하는 백혈구
 
Eosinophil 정상수치 : 0.0 ~ 7.0 (%)
 
호산구 증가 시 : 알레르기, 피부 염증, 기생충질환, 감염, 골수 질환

호산구 감소 시 : 쿠싱 증후군, 급성 중독, 급성 감염, 혈류 감염등
 
 

호염구(Basophil)

 
의의 : 신체 손상과 염증을 조절
 
호염구 증가 시 : 백혈병, 혈액질환, 알레르기, 악성 종양, 음식에 대한 과민반응, 방사선 치료

호염구 감소 시 : 갑상선중독증, 급성과민반응, 감염
 
Basophil 정상 수치 : 0.0 ~ 1.5 (%)
 

림프구(Lymphocyte)


의의 : 항체생성 조절, 면역 반응 관여
 
림프구 증가 시 : 바이러스 감염, 백혈병, 골수암, 방사선 치료 시 등

림프구 감소 시 : 루푸스 같은 자가면역 질환, HIV감염(AIDS) 같은 면역 결핍 질환
 
Lymphocyte 정상 수치 : 20.0 ~ 50.0 (%)
 

단핵구(Monocyte)

 
의의 : 면역체계 조절, 암세포 파괴등
 
Monocyte 정상 수치 : 4.0 ~ 12.0 (%)
 
단핵구 증가 시 : 백혈병, 감염, 염증, 자가면역 질환, 혈액 질환, 특정 암등

단핵구 감소 시 : 골수부전, 혈류감염등
 
*모든 참고치는 병원, 검사기관, 장비, 검사 방법에 따라 상이할 수 있습니다.
 
 

2023.11.24 - [진단혈액학] - 백혈구(WBC) : 백혈구의 종류와 기능, 호산구,호염구,호중구,림프구,단핵구의 기능

 

백혈구(WBC) : 백혈구의 종류와 기능, 호산구,호염구,호중구,림프구,단핵구의 기능

안녕하세요 진단검사의학독학하기 진독입니다. 지난 글에서는 혈액의 구성성분을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혈액의 구성 성분중에서 우리 몸의 면역을 담당하고 있는 백혈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lmselfstudy.tistory.com


이전에 작성한 백혈구에 대한 글을 읽으시면 백혈구감별계산을 이해하시는데 조금 더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WBC differential count(백혈구감별계산)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google-site-verification=salnmGDvo3vT5MGgB4EVbzpih-qEywUuxbX6dUh_RhQ